즐기자 예술

159억 자신의 그림을 불태운 미술작가 '데미안 허스트'

알 수 없는 사용자 2022. 10. 13. 14:30

 

 

☻아트이슈 무료구독: https://vo.la/CItXvA

 

아트이슈 - ART ISSUE

전세계 다양한 예술 이슈를 소개 합니다.

www.youtube.com

☻네이버TV: https://tv.naver.com/enjoyart

 

즐기자 예술 : 네이버TV

즐기자TV는 예술, 맛집, 여행, 엔터테인먼트, 각종리뷰 등 다양한 영상 정보를 제공 합니다. 즐기자TV, 즐기자예술, 즐기자여행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https://tv.naver.com/joytelevi https://tv.naver.com/enjoyar

tv.naver.com


안녕하세요. '아트이슈'입니다.
‘상어 절임’(Pickled Shark), ‘다이아몬드 해골’로 유명한, 현대미술계의 악동이자 거장인, 데미안 허스트(57)가, 이번엔 자신의 작품을 불태웠습니다.
NFT(대체불가능 토큰)를 위해서 입니다.
13일 영국 BBC 등에 따르면 허스트는 지난 11일(현지시간) NFT로 팔린 자신의 작품 원본 수 천 점을 태우는 퍼포먼스를 시작했습니다. 
불태워진 작품은 지난해 NFT로 제작 판매한 ‘화폐(The Currency)’로, 색색의 땡땡이가 그려진 A4 사이즈의 회화 1만점과 그에 상응하는 1만개의 NFT 입니다. 
1점당 2000달러에 판매했고, 총 2000만달러어치를 팔았습니다. 
작가는 컬렉터에게 컬렉션용으로 NFT와 실제 원본 작품 가운데 한 가지를 선택하라고 했고, 4851명의 구매자는 NFT를, 5149명은 종이 원본을 선택했습니다. 
영국 런던 뉴포트 스트리트 갤러리에서 관련 전시회를 열고 있는 그는 작품 소각을 전시의 퍼포먼스로 기획했습니다.
런던에서 활동하는 건축가 폴 로빈슨(39)은 허스트의 작품을 집안에 걸어 놓고 싶기도 했지만 NFT 작품의 가치가 향후 어떻게 될 것인지 모험을 택했습니다.
 크로아티아 출신 부부는 작품 1점은 원본을, 1점은 NFT를 선택했습니다. 
본인을 예술가라고 밝힌 남편 아르센은 “예술은 늘 새로운 미디어를 도입했고 최신의 뉴 미디어는 NFT”라며 “데미안이 최선의 방식으로 뉴 미디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전시장에 설치된 특수 난롯불에 작품을 태우는 장면은 실시간으로 SNS를 통해 생중계됐고, 취재진을 불러 대대적인 포토콜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허스트는 은색 방화복과 방화 장갑을 착용한 채, 작품 하나 하나를 카메라에 비추어 확인하며 직접 난롯불에 넣었습니다.
 작품들을 불태우는 느낌이 어떻냐는 질문에 그는 “기분 좋다. 예상했던 것보다 낫다”고 했습니다.
그는 “대다수가 내가 수백만 달러 규모의 작품을 태우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며 “물리적 원본을 태워 없애버리는 과정을 통해 실물 예술작품을 NFT를 변환하는 작업을 완수하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NFT가 그에 상응하는 가치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결국 물리적 원본이 사라져야한다는 설명입니다.
이날 태워진 작품은 4851점 중 일부로, 전시가 끝나는 30일까지 계속 소각은 진행될 것으로 예고됐습니다. 대략 159억원 규모 입니다.
허스트가 벌인 수백억 규모 퍼포먼스를 놓고 의견은 극으로 갈립니다.
 환호하는 만큼 비판의 목소리도 큽니다.
 BBC는 “생계비 걱정을 해야할 정도로 경제사정이 어려운 시점에 허스트의 행동은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영국 여행잡지 ‘타임 아웃’의 에디 프랭켈은 “허스트는 현실세계와 완전히 단절된 존재 같다. 그런 일은 올리가르히(러시아 신흥 부자)와 그들이 사모은 한때 첨단을 달렸던 화가나 좋아할 일”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여러분은 159억원 규모의 자신의 작품을 태우는 허스트의 행동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